본문 바로가기

N잡 부록/부업

셔터스톡에서 부업으로 스톡사진을 판매하다가 탈퇴한 3가지 이유

2018년 11월부터 2023년 7월까지 5년 가까이 셔터스톡에서 스톡사진을 판매했습니다. 탈퇴할 날을 기다리다가 2023년에 드디어 탈퇴를 했습니다.


셔터스톡 탈퇴를 왜 2023년까지 5년 가까이 기다렸을까? -  첫 번째 이유

너무 단순하면서도, 조금 부끄럽기도 한 이유였습니다.

그건 최소지급액 때문이었습니다.

네. 최소지급액인 35달러는 버는데 5년 가까이 걸렸습니다.

한 달에 810원씩 번 꼴. 이미지를 편집하고 등록하는 데 사용한 전기세도 건지지 못한 수준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이 정도는 아닙니다. 스톡사진 판매를 처음 해봤던 사이트였기 때문에, 테스트 겸 첫 도전이라 많이 서툴고 요령도 없었던 이유도 있었을 것입니다. 

처음부터 목표한 바는 아니었지만, 시간이 이 정도까지 지나니 투자한 시간에 비해 수익률이 심하게 떨어진다는 결론을 내고 최소지급액을 받으면 탈퇴를 해야겠다고 결심을 했습니다. 중간부터는 이미지를 업로드하지 않고 그냥 올렸던 이미지를 두고 최소지급액에 도달할 때까지 버텼습니다.


이미지를 등록하기까지? -  두 번째 이유

사진을 촬영하고, 이미지를 제작하고, 편집하는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입니다. 그런데 그 시간만큼 오래 걸리는 것이 메타데이터를 입력하고 등록하는 것이었습니다.

메타데이터는 속성정보라고도 하는데, 스톡사진을 판매하려는 사람이 입력해야 하는 스톡사진의 제목, 카테고리, 키워드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셔터스톡은 해외사이트이기 때문에 각 사진의 제목, 키워드를 모두 영어로 입력해야 합니다. 영어를 못하기 때문에  번역기와 사전을 이용해서 입력했습니다. 의미가 왜곡되지 않게 하기 위해 여러 번역기를 번갈아가면서 사용하고 검증하는 과정까지 굉장히 번거로웠습니다. 키워드도 10개 이상정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1장 업로드 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

반응형

등록하면 셔터스톡에서 검토하고 승인은? - 세 번째 이유

오랜 시간에 걸쳐 등록한 이미지에 25% 정도는 승인이 거절돼서 업로드를 못했습니다. 다른 스톡사진 판매 사이트들에 비해 스톡사진 승인이 상대적으로 어렵다고 느꼈습니다. 해외 사이트인 만큼 등록하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그만큼 퀄리티가 높은 것 같습니다.

사진은 보통 초점이 안 맞거나 노이즈 때문이 경우가 많았습니다. 대부분 DSLR로 찍은 사진이었는데, 사진도 배우는 중이니 기술이 부족했나 보다고 생각합니다.3D로 제작한 이미지의 경우에는 등록한 다른 이미지와 비슷하다거나 3D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자산 사용 계약서가 필요하다는 내용이었습니다. 3D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련 내용으로 승인 거절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셔터스톡이 좋았었던 점은?

전 세계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를 대상으로 나의 사진을 판매할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제 사진도 호주, 인도, 이집트, 러시아, 미국 등 정말 다양한 나라에 판매가 되면서 신기하고 뭔가 남다른 기분이 있었습니다.

셔터스톡에서 비독점으로 판매를 했기 때문에, 셔터스톡에 도전하신다면 꼭 다른 스톡사진 판매 사이트에서도 함께 판매하시길 추천합니다.


반응형